챗GPT, 알고보니 물도 먹는 하마

윤유경

•챗GPT는 일반 검색보다 훨씬 많은 전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전기로 발생한 열을 식히는 과정에서 다량의 물도 소비한다고 함

💥AI, 전기 먹는 하마
•AI 데이터센터는 기존 데이터센터 대비 더 많은 전력 소모
-데이터센터가 소비하는 전력은 수십만 가구의 사용량과 비슷
•구글 검색보다 최대 25배 많은 에너지 사용
-2030년까지 AI가 전세계 전력 수요의 최대 3.5%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

🔵AI, 물 먹는 하마
•AI 운영에 필수적인 데이터 센터는 많은 열을 발생시킴
-데이터 센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기에 열 발생
-데이터 센터 자체에서도 열 발생
•이들 열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물이 필요
-냉각수는 열을 받아 수증기로 증발
•챗GPT는 10~50개의 질문 처리하면서 500ml 물을 소비
-더 큰 언어모델 가지고 있는 GPT 4는 더 많은 물 사용할 것으로 예상

🌐기업별 대응
•AWS는 '워터 포지티브'를 선언
•MS는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소형원전(SMR)에 투자
-안전성 우려와 승인 과정이 복잡하다는 비판
•아마존은 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실시중
-2025년까지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계획

💡
워터 포지티브: 기업이 실제 사용한 물보다 더 많은 물을 사회에 반환해 지속가능한 물관리에 참여하겠다는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