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먹거리 양자기술, 한국 얼마나 뒤쳐졌나

김지원
김지원
©연합뉴스

•어제(27일) 일산 '퀀텀코리아 2024'가 폐막. 미래먹거리로 양자기술이 각광받은 자리. 한국의 양자기술 현주소와 기술패권을 잡기 위해 필요한 전략을 정리해봄

🔗
양자기술: 물체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를 양자라고 함. 거리에 무관하게 공동의 통일된 양자상태로 연결(양자얽힘)하거나, 두 개 이상의 양자 상태를 합치는(양자중첩) 기술이 양자기술. 양자기술은 여러 산업분야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세부 기술로는 양자컴퓨터, 양자 통신 등이 있음

😭양자기술 후발주자 한국
•주요 12개국 중 한국의 양자기술은 최하위로 자체 평가됨
-양자컴퓨터·양자센서·양자통신에서 유독 부족
•특히 양자통신에서 한국의 점수는 주요국보다 28~29배 적어
-미국 84.8점, 중국 82.5점인데 반해 한국은 2.9점
•양자기술 분야 연구 규모도 세계 16위 수준

🚄양자기술 해외는 어떻길래
•한국이 20큐비트 양자컴퓨터 시연할 때 미국은 1000큐비트 내놓음
-기존 컴퓨터 단위는 비트(0과1로만 표현). 2비트=4개(00,01,10,11) 중 하나
-양자컴퓨터 단위는 큐비트(0과1이 중첩). 2큐비트=4개가 동시에 가능
-구글, 2019년 53큐비트 양자컴퓨터로 슈퍼컴퓨터가 1만년 걸릴 문제를 3분 만에 해결
•그래서 MS·IBM·구글 등 빅테크 기업은 양자기술에서 우위
•일본은 양자통신·암호 하드웨어에서 독보적 기술력 있다고 평가받음

🌍한국, 글로벌 경쟁력을 손에 쥐려면
•아직 양자기술이 세계무대에 출현하지 않았지만 기술패권 역량 키워야
•제약산업·인공지능·금융 등에서 양자기술과 응용서비스 기술 개발해야
-이미 드론·카메라·보안망 등 상용화 서비스가 실생활에 접목되기 시작
•양자통신을 현재 기초연구에 그칠 게 아니라 산업에 접목시키는 전환이 필요

참고: 브릿지경제, 디지털데일리, 조선비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