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

김민

생생한 소식으로 만나뵙겠습니다!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괴롭힘 금지법 5년, 신고율은 10% 불과

괴롭힘 금지법 5년, 신고율은 10% 불과
김민
NEW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된지 5년. 그러나 아직도 신고율은 10%로 겉돌고 있음

🔍직장 내 괴롭힘 현황
•직장 내 괴롭힘 자체는 44.5%(2019년)에서 32%(2024년)로 감소
-시민단체 직장갑질119 조사
•올해 2분기 기준 직장 내 괴롭힘을 당하고도 신고한 사람은 10.3% [https://m.nocutnews.co.kr/news/6165371]

-8.1%는 회사·노동조합에 신고, 2.2%는 고용 관련 기관에 신고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되면 분리조치·징계 등의 조치 취할 수 있음
•그러나 신고부터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괴롭힘으로 신고한 근로자의 절반 이상이 회사 내에 그대로 방치됨
-60.6%는 참거나 모르는 척했다, 23.1% 회사를 그만두었다

🤔직장 내 금지법 실효성
•법안의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논의 필요
•피해자에게 보복 조치가 발생했을 때 대처법 마련 필요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금융권 내부횡령 6년간 1800억원...매달 발생

금융권 내부횡령 6년간 1800억원...매달 발생
김민
NEW

•최근 6년 동안 금융회사 내부 직원의 횡령액이 1800억원 돌파. 횡령 방지 대책 불구 사고 끊이지 않고 있음

💰얼마나 자주 일어나길래?
•2024년 상반기 매달 1~3건 횡령 사고 발생
[https://biz.sbs.co.kr/article/20000177724?division=NAVER]
•횡령금 액수도 2021년 기점으로 대폭 증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100억원 미만
-2021년 156억원·2022년 827억원·작년 642억원(그래프=연합뉴스)

💸얼마나 환수했나?
•2018년부터 2024년 6월 중순까지 발생한 횡령액 약1804억원
•이 중 환수된 금액은 175억원 5660만원. 환수율 9.7%
•우리은행에서 발생한 100억원대 규모 횡령은 포함 안됨
-드러나지 않은 사건도 있을 수 있음
•횡령액 환수 못하면 피해는 고스란히 회사의 몫이 됨

✅횡령 대책?
•금융당국에서 금융권 내부 통제 방안 등을 매번 내놓고 있으나 실효성 떨어짐
•중요한 건 금융사 임직원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교육비 아끼세요"...사교육 부담없는 학교란

"교육비 아끼세요"...사교육 부담없는 학교란
김민
NEW

•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친서민 정책인 '사교육 부담없는 지역·학교'가 7월부터 확대 시행됨

🔍사교육 부담없는 지역·학교: 교육발전특구 시범 지역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 교육청·지자체·지역대학 등이 협력을 토대로 사교육 부담을 덜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함. 전국적으로 450곳에서 시행중📌기존 정책과 차이
•중앙정부가 특정제도를 마련한 과거와 달리 지방정부와 교육청이 추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4/0000117467]
-교과 시간이 끝난 뒤에도 학교에 남아서 수업 이수
-외부 강사 초빙해 수업하거나 EBS교육방송·에듀케어 프로그램 활용
•지역 대학 등이 연계해 스스로 사교육을 대체할 프로그램을 마련함

😃사교육 완화, 실효성은?
•선정 지역이나 학교에서 사교육비 경감과 관련된 구체적인 목표 수치를 설정
•구체적인 내용을 교육부 컨설팅을 통해 결정하는 상향식 시스템
•교육부는 컨설팅 과정을 조정 및 보완할 뿐 아니라 성과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외국인 이주민은 잠재적 가해자? 정말일까

외국인 이주민은 잠재적 가해자? 정말일까
김민
NEW

•한국에 체류하는 이주민들이 다양한 범죄에 노출
[https://www.hani.co.kr/arti/society/rights/1144099.html#ace04ou]

🌐현재 상황
•매년 이주민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문화적 포용성 문제
•한국에서는 이주민을 '잠재적 가해자'로 인식하는 경향 있음
-한국인 58% "외국인은 내국인보다 더 위험하다"
•그러나 이주민 역시 범죄 피해를 당할 수 있는 소수자
-이주민은 한국말이 서투르고 정보 부족해 사기에 노출되기 쉬움

🤔이주민이 범죄 피해자?
•유죄 판결 받지 않아도 조사중·기소유예의 경우 국적 취득이나 비자 연장 어려움
-이 때문에 처음부터 신고 꺼리기도
-미등록 이주민은 더욱 신고를 꺼림
•통역 비용도 부담

💧이주민이 느끼는 두려움
•2020년 전국범죄피해조사 중 이주민 조사 결과
-이주민 25% "범죄피해시 다른 사람에 비해 심각할 것"
-이주민 20% "밤에 혼자 동네 골목길을 걸을 때 두려워"

🍀해결방안
•정부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2년연속 세수펑크 불가피..그런데도 대규모 감세

2년연속 세수펑크 불가피..그런데도 대규모 감세
김민
NEW

•작년 대규모 세수펑크에 이어 올해도 세수결손이 확실시되고 있음. 그런데도 정부는 각종 세금 폐지 및 감면 카드를 잇따라 내놓고 있음

👁‍🗨2024 국세 전망
•국세의 약 70%를 담당하는 법인세·소득세·부가가치세 전년대비 적을 것으로 전망
[http://www.taxtimes.co.kr/news/article.html?no=260926]
•전년 대비 법인세 26%🔻, 소득세 4.6%🔻, 부가세 2.2%🔻 예측
•전체 국세 수입은 8.3% 줄어든 367조원으로 예상
•세금이 작년만큼 걷힌다고 가정할 경우 30조원 세수결손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4/06/02/W7HV5AHT2VGLPJEYP4MKDMPWKQ/]
예상

💡세수 결손: 지난해 예산을 짜면서 예상했던 국세수입보다 실제 국세수입이 적게 걷히는 것🎇세수결손 징후
•올해 1~4월 법인세 [https://www.news1.kr/articles/5433500]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목숨 앗아가는 '비행기 난기류' 사고, 더 위험해진다

목숨 앗아가는 '비행기 난기류' 사고, 더 위험해진다
김민
NEW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자주 발생해 비행기 사고 증가

🛫비행기 난기류
•난기류: 공기의 흐름이 예측할 수 없게 불규칙한 기류
•미국에서 항공기 6만 5000대가 매년 항공기 난기류 경험
•2009년~2022년까지 난기류로 중상 입은 사람 163명
•21일 영국 런던에선 난기류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40522/125065228/1]로 1명
사망(심장마비)·7명 중상·63명 경상

🌀위험성
•맑은 하늘에서 발생하는 청정난기류는 40년 사이 37% 증가
•향후 청정난기류 3배 증가, 지속 시간 20~30분 예측
•난기류 사고 중 28%는 예측 불가. 청정난기류는 가장 예측 어려움 [https://m.nocutnews.co.kr/news/6149773]

🔸대처법 [https://m.nocutnews.co.kr/news/6149773]
•사고 시 신속하게 안전벨트 맬 수 있게 시스템 마련
•장시간 운행할지라도 기내에서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공공부문 장애인고용 감소로 유턴...왜?

공공부문 장애인고용 감소로 유턴...왜?
김민
NEW

•공공부문 장애인 고용률이 2018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음

♿장애인 고용제
•장애인고용의무제도: 기업 종류 별로 일정 비율 장애인 고용
•공공기관·정부·지자체 등 공공부문은 전체 직원의 3.8%를 장애인으로 고용
•작년 민간기업 포함 장애인 고용률 늘어나는데 공공부문은 첫 감소 [https://m.nocutnews.co.kr/news/6149148]

🟡공공부문 줄어든 이유
•지방자치단체, 정부의 비공무원에서 고용률이 비교적 줄어듦
•정부의 공무원은 의무 고용 비중인 3.8% 채우지 못한 2.86%
•교사, 군무원 등 공무원은 공급 자체가 적거나 특수업무가 많아서 채용 어려움
•그러나 공공부문 전체로 봤을 땐 장애인 고용률 3.86%로 의무 비율 채움

✅민간은 어떤 상황?
•민간부문 의무 장애인 고용 비중은 3.1%이나 작년 실제 고용률 2.99%
•500인 이상 1000인 미만 기업 장애인 고용률 3.45%
•1000인 이상 기업 장애인 고용률은 2.88%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방패막이된 금감원 퇴직자?

방패막이된 금감원 퇴직자?
김민
NEW

•금융감독원 직원이 퇴사 후 금융권으로 취업하는 사례가 늘어남. 한국일보가 4년 간 이직한 금감원 직원 전수조사한 내용을 요약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51710490001271]해봄

📈금감원 이직자 증가
•4급 이상 금감원 직원은 3년 동안 관련 업계 재취업 불가
•재취업 하려면 공직자윤리위원회 취업심사 거쳐야 함
•지난 4년 동안 금감원에서 취업심사 받은 인권 151명, 정규직의 8.4%
•이 중 취업 불승인 및 제한 조치 받은 이는 9명에 불과

👁‍🗨전관재취업이 문제
•금감원 퇴직자 범금융권으로 이직
👉금융투자업(24명), 보험업계(22명), 저축은행업권(14명) 등
•금감원에서 쌓은 기술과 경험으로 민간 기업 방어
•금감원 출신 임원 있는 금융회사, 타기업 비해 제재 받은 확률 16.4% 낮아
•로펌행 퇴직자 늘어나며 전관예우 우려 발생
[https://www.newsquest.co.kr/news/article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금융권 비대면 서비스, 여기까지 왔다

금융권 비대면 서비스, 여기까지 왔다
김민
NEW

연합뉴스•코로나19로 비대면이 뉴노멀이 된 가운데 특히 금융권에서 비대면 업무 처리가 대세로 자리잡음. 예·적금 상품, 콜센터의 비대면 전환이
얼마나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지 살펴봄

📱최근 상황
•은행 예·적금 상품 비대면 가입 폭증
•5대 은행의 지난 1분기 신규 적금 비대면 가입 80% 이상
•거치식 예금은 5대 은행의 올해 1분기 비대면 가입 비중이 평균 69.6%
👉5년 전 41.4%에서 30%p 가까이 급상승
•5대 은행의 모바일 앱 누적 가입자 최소 1천만명

📜원인
•코로나19의 영향
👉비대면 적금가입 비중 2019년 1분기 60% ➡️ 2022년 1분기 80%
👉펀드 가입 비중 2019년 1분기 53.6%➡️ 올해 1분기 74.8%

🟡전망과 과제
•생성형 AI(인공지능) 기술을 모바일 앱에 탑재해 비대면 가입 확대 유도
•대면 영업을 위한 점포 및 ATM 갈수록 축소
•고령층의 사용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쉬운 앱 사용 방안 강구 필요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주요대학, 대입에 학폭 반영 이렇게한다

주요대학, 대입에 학폭 반영 이렇게한다
김민
NEW

•서울고교에서 발생한 학폭이 4년만에 최고치를 씀. 2026학년도 대입부터 학폭 기록을 의무적으로 반영하기로 함

🤔최근 상황
•초·중·고 정보공시시스템 '학교알리미' 결과, 작년 서울 소재 고교의 학교폭력 심의 건수 693건
[https://m.nocutnews.co.kr/news/6143256]
•2020년부터 지속증가 : 412건(20년)→622건(21년)→671건(22년)→693건(23년)
•일반고가 62.3% / 특성화고·마이스터고 27.0% / 특목고·자사고 8.1% /  예체능고 2.6%
•언어폭력이 309건(33.6%) / 신체폭력 273건(29.7%) / 사이버폭력 106건(11.5%) / 성폭력 84건(9.1%

📝2026학년도 정시 대입전형
•주요 대학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학교폭력에 대한 감점이 적용
•성균관대와 서강대는 2호(접촉, 협박, 보복행위 금지) 이상부터 전형 총점을 0점 처리

※경중별 학폭위 조치
•1호(서면사과)
•2호(접촉·협박·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대한민국 미혼자 40% "결혼 안해"...시사점은?

대한민국 미혼자 40% "결혼 안해"...시사점은?
김민
NEW

•20~40대 미혼 남녀 10명중 4명은 앞으로도 결혼 생각이 없는 것으로 조사. 시사점을 정리해 봄

🤔결혼이 부담되는 이유
•결혼에 필요한 자금 부족
•결혼 후 역할에 대한 부담감
•가사와 출산·자녀 양육, 가족 부양 문제

💸정부의 기존 정책
•아동수당, 양육수당, 부모급여 등 현금성 지원
•첫만남 이용권 등 비현금성 지원
•저소득층 분유, 기저귀 등 물품 지원
•정부 지원 산후 도우미 서비스
•출산 가구 전기세 할인

📑설문결과 https://m.nocutnews.co.kr/news/6139408
•근무시간 줄고, 육아시간 확보되면 출산의향 있음
•육아휴직, 단축근무에도 급여가 충분하다면 출산의향 있음
•정부의 양육수당이 늘어나면 출산의향 있음

❓시사점
•2030 세대는 출산 후 정책보다 '급여' 증가 요구
•여성의 경우 '경력단절' 공식적 해결 요구
👉2030 세대의 반응을 고려해 기존 방안에서의 획기적 변경 필요성
•자유로운 육아휴직제도 사용

more...
김민
김민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尹폐기한 '방송3법' 원형대로 재추진

尹폐기한 '방송3법' 원형대로 재추진
김민
NEW

•22대 국회 개원하면 주목받을 법안 가운데 하나가 방송3법임. 야권 정당들이 모두 벼르고 있어서 어느 때보다  개정 여부에 관심 높음

📡방송3법?
•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개정안
•윤석열 대통령이 작년 거부권을 행사한 뒤 폐기
•민주당 등 진보 진영, 22대 국회 개원하면 폐기된 법안 내용 그대로 재추진 방침

🎙︎어떤 내용?
•공영방송 이사회 이사진 확대로 지배구조 개선
•방송·미디어 학회와 시청자위원회 등도 이사 추천 권한 부여
•8월 MBC 이사진 개편 앞두고 관심 집중

👂목적
•방통위가 공영방송 이사 선정을 통해 공영방송을 정권의 영향하에 두는 것을 막기위해
•이를 위해 언론과 학계까지 이사진에 포함시키자는 것
•시민들이 직접 공영방송 사장 [https://www.hani.co.kr/arti/society/media/1115671.html] 후보자
추천하는 위원회 만들자는 의견도

💁‍♀️쟁점
•지난 2023년 9월, 국회 본회의에서 여당과 야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