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이런 식이면 미래 없다"

편집팀

짧은사설 5개로☕세상읽기

🤼참패 원인, 국민은 다 아는데 與는 정말 몰라 싸우나

총선에서 참패한 국민의힘이 쇄신의 방향도 잡지 못한 채 내부 싸움중

홍준표(대구시장)와 한동훈(전 비대위원장)이 서로 “대통령도 배신한 사람”, “잘못을 바로잡으려는 노력은 배신이 아니라 용기”라고 공박. 윤 대통령측은 홍준표 편, 낙선자 일부는 한동훈 편으로 나뉘어 갈등. 한동훈은 대통령의 오찬 초청도 거절. 영남 대 수도권 사이에도 ‘영남 일색의 당 지도부’ 패배 원인을 놓고 갈등

당선자 총회는 화기애애. 손뼉 치며 껴안고 기념사진. 초선 당선자 간담회에는 28명 중 14명만 참석. 참패는 윤 대통령의 오만과 불통 때문이지만 대통령의 독선적 국정 운영을 견제하는 데 실패한 여당의 책임도 큼.

지난 2년간 여당은 친윤, 비윤으로 나뉘어 대통령 눈치만 봄. 그러다 선거에 지고 나니 남 탓. 변하려면 남 탓에 앞서 자성해야(조선일보)

🏌️총선 참패에도 쇄신은커녕 당권 경쟁에만 몰두하는 與

국민의힘이 비대위 체제를 꾸려 ‘6월 말 7월 초’ 전당대회를 갖기로 정했었음. 그러나 비대위체제(관리형-혁신형) 결정 못해. 물밑에서는 친윤·비윤·수도권·영남권 당선자들 간 당권 경쟁. 전당대회 반대 목소리, 전당대회 룰 변경 목소리도 나옴

오늘 다시 당선자 총회. 당선자들은 영남권-수도권으로 나뉘어 연일 총선 패배 책임 공방. 저번 총회 때엔 서로 얼싸안고 ‘셀카’나 찍으며 자축. 압승한 민주당 모습인 줄. 일부 당선자는 “21대 84석보다 6석은 더 많아졌다”, “전국 득표율로는 민주당과 5.4%포인트 차이”라고 말해. 국민의힘에 국민이 없음

여당이 중심을 잡아야 국정도 정상화의 길로 들어설 수 있어. 이런 식이면 미래는 더 이상 없음. 대혁신에 나서지 않으면 당의 존립마저 위태로워질 것임을 명심하길(세계일보)

🤺총선 참패 네 탓하는 여당의 자중지란 볼썽사납다

총선은 무능한 집권당 심판이었음. 여당은 대통령실을 옹호하기 바빴지 성난 여론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했음. 대통령실과 야당 사이에서 정치 공간을 만들기보다 야당과의 갈등을 증폭

대통령실이 친윤당을 만들려고 4번이나 대표를 갈아치웠지만 아무 소리 못해. 이렇게 여당 역할을 포기하고 대통령실 거수기를 자처한 결과가 총선 참패

총선 참패 이후엔 지리멸렬. 대통령실의 ‘여의도 출장소’로 불린 수직적 당정관계 혁파부터 당 지도부 개편 등 산적한 숙제 못하고 있어. 대신 수도권·영남권, 당선인·낙선인, 친윤석열·친한동훈으로 나뉘어 서로 삿대질. 참패한 집권여당이 맞나

이런 자중지란을 수습할 인물도, 세력도 보이지 않아. 지금 여당은 한가한 상황이 아님. 다음달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채 상병 특검법은 여당이 총선 민심에 부응할지 가를 바로미터가 될 것. 국민이 끄덕일 사과와 변화가 없으면 시간은 여당의 편이 아닐 것(경향신문)

👥위안부 강제성 부인한 교과서… 日의 두 얼굴

일본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강제성을 부인한 역사 교과서를 검정에서 통과시켰음. 레이와서적의 교과서는 “강제 연행한 사실이 없고 그녀들은 보수를 받고 일했다”, “전장에 데리고 다녔던 사실이 없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새빨간 거짓말

1993년 ‘고노 담화’는 강제성을 인정했음. 이후 일본 역대 내각이 담화 계승 천명. 담화는 특히 “역사 교육을 통해 오래도록 기억하고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겠다”고 강조. 그런 고노 담화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교과서는 대단히 유감

역사를 왜곡한 일본 정부 공인의 교과서가 돌아다니는 것 자체가 과거사를 대하는 일본의 두 얼굴을 드러냈음. 아베 정권도 폐지를 위해 고노 담화를 검증. 역사 교과서에서 위안부 기술을 뺐음. 어두운 역사를 숨기는 행위는 국제적으로 지탄받을 일(서울신문)

👻“고종이 을사조약 만족했다”, 역사 왜곡 도넘은 일본

일본 정부가 역사 왜곡한 중학교 교과서 2종을 추가 검정한 것은 할 말을 잊게 만듦. 한·일 양국 정부가 역사 갈등을 벌이면서도 지켜온 금도를 넘어선 ‘폭거’. 특히 놀라운 것은 을사조약(1905)에 대한 설명

일본은 오랫동안 식민지배가 ‘합법’이라고 주장하면서도 한국인들이 자발적으로 원했다거나 ‘정당한 지배’였다고는 주장 안했음. 간 담화(2010)에서 “한국인들이 뜻에 반한 식민지 지배”라고 인정한 게 좋은 예. 하지만 이번엔 을사조약에 대해 고종이 “만족”했고, “스스로 일부 대신의 반대를 설득해 조인했다”고 기술. 을사조약이 협박 아래 강제로 체결됐음은 조약의 ‘형식적 합법성’을 주장하는 일본 학자들조차 인정하는 내용

윤석열 정부는 지난 2년간 이어온 대일 ‘굴욕 외교’가 이런 역사 왜곡으로 이어진 것은 아닌지 살펴야 함. 2020·2021년 검정 탈락했던 극우 교과서들이 올해엔 왜 통과됐는지를 돌아봐야 함. ‘대사 초치’라는 형식적 항의로 대충 넘어가려 해선 안 됨. 대일 정책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해야 함(한겨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