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언론도 尹에 "어이없어"

편집팀

짧은사설 5개로☕세상읽기

🤥국민 앞 아니라 비공개 자리서 “죄송” 말했다는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의 TV 생중계 국무회의 모두 발언은 대국민 사과로 보기 힘든 내용. 이런 반응을 의식한 듯 대통령실은 대통령이 나중에 “죄송하다”고 했다고 발표. 죄송하다는 말을 국민 앞에 하지 않고 자신들만 있는 자리에서 했다는 것

윤 대통령은 자신의 오만과 독선, 불통에 대해 언급하지 않음. 국민이 듣고 싶은 중요 문제에 대해선 아무런 말을 하지 않았으니 소통이 부족했다고 인정하는 발표가 소통 부족이었다는 비판을 듣는 것

대통령의 남은 임기 3년은 험난할 것. 야당도 그렇고 여당도 과거처럼 일사불란하게 윤 대통령 지시를 따르지는 않을 것. 대통령이 가시밭길을 헤쳐가려면 국민을 직접 설득하고 야당의 협조를 이끌어내야 함. 총선에 지고도 바뀐 게 없다고 국민이 느끼면 국정은 불가능(조선일보)

🤨윤 대통령은 총선 민의를 제대로 깨닫고 있나

윤 대통령은 어제 민심이 정권을 떠난 이유와 관련, “국민을 위한 정책이 세심한 영역에서 부족했다”고 진단. 그러나 지엽적인 얘기. 본인의 일방통행식 국정 운영이 결정적 요인. 민심을 자극한 장본인이 누구인가.

지난 2년은 정책보다는 정치가, 스타일과 태도가 문제였음. 어제 발언엔 이런 성찰이 부족. 국정 운영 스타일을 바꾸지 않으면 남은 3년 매우 불행해진다는 게 총선의 민의.

야당에 대한 메시지가 빠진 것도 아쉬움. 분명하고 전향적인 협치 메시지가 나왔어야. 22대 국회에선 여야 협치 없이는 아무것도 달성할 수 없음. 국회 개원 전엔 이 대표를 만나야(중앙일보)

🤔尹 대통령, 총선 민의와 정치 현실 제대로 읽고 있나

총선 엿새 만에 나온 윤 대통령의 어제 13분 발언은 실망스러웠음. 책임과 자성의 메시지 미약. 변화와 쇄신 의지도 안 보여. 소통과 협치에 대해 계획조차 제시하지 않음. 냉정한 민심에 대한 섭섭함, 억울함의 토로였음.

여당 내부에서조차 비판 나오자 뒤늦게 비공개 회의에선 잘못과 죄송 언급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해. 엿새 동안이나 고심하다 나온 입장에 논란 수습 차원의 전언을 덧붙이는 것 자체가 어이없는 일

형식부터 문제. 하고 싶지 않은 얘기를 마지못해 하는 것처럼 비쳤음. 책임을 내각에 돌리고 장관들에게 분발을 촉구하는 모양새. 내용은 더 큰 문제. 반성은커녕 변명이 대부분. 정책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해 아쉽다고 한 부분은 국민에 대한 불만으로 들릴 만 함

민심의 요구와 당면한 정치적 현실을 제대로 읽지 못하는 듯. 한 번 밀리면 계속 밀릴 수밖에 없다는 인식에 사로잡혀 있는 듯. 그런 독선으론 큰 차질을 빚을 것(동아일보)

🤢총선 참패 일주일 지나도 절박함도 위기감도 없는 여당

총선 참패 일주일이 지나도록 국민의힘이 반성과 변화를 보여주긴커녕 안이하고 무기력한 모습만 반복. 중진회의가 자성과 위기수습 방안이 빠진데 이어, 당선자총회 역시 추상적인 결의문만 낭독. 친윤 비윤 견제 기류만 분명해지는 상황

더욱이 ‘개 논란’은 절망적. 홍준표 대구시장이 한동훈 전 비대위원장을 “문재인 사냥개가 돼 우리를 짓밟던 애”라고 비난하자 김경율 전 비대위원은 “(‘개통령’으로 불리는) 강형욱씨가 답변하는 게 맞다”고 받아쳐

친윤계 박수영 의원은 “4년 전보다 5석 늘었고 득표율 격차는 5.4%포인트로 줄었다. 3%만 가져오면 대선 이긴다”고 했다. 민심이 2년만에 심판의 철퇴를 내린 사실조차 인정하지 않은 것. 선제적으로 민심에 적응해야 할 처지 아닌가(한국일보)

🤡‘강제동원 판결 수용 못한다’는 일본에 한마디도 못한 정부

일본 정부가 또다시 ‘독도는 일본 땅’이라고 주장. 한국 대법원의 일본 전범기업들에 대하 배상 명령 판결들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힘. 윤석열 정부는 독도 영유권 주장에는 항의했지만, 한국 사법부 판결에 대한 정면 부정에는 아무 입장을 안 냄.

윤 대통령이 ‘제3자 변제’ 방식으로 일본의 배상 책임을 면제해준 뒤 이 문제에 대해 한마디도 할 수 없는 처지. 윤 대통령은 일본 정부와 한국 사법부 사이에서 일본 편만 들고 있음. 일본과의 약속이 자국 사법부 판결과 피해자들의 의사보다 더 중요한가.

정부는 일본군 위안부 등 과거사 문제 전반에 대해서도 침묵해야 하는 지경이 됐음. 한국의 이런 입장 때문에 일본은 패전 이후 역사상 ‘전쟁할 수 있는 보통국가’ 지위에 가장 가까이 다가서고 있음(경향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