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서

김윤서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태국내 한국 여행 보이콧, 이유는?

태국내 한국 여행 보이콧, 이유는?
김윤서
NEW

ⓒ연합뉴스•연이은 입국 불허와 반한 감정 확산으로 인해 한국을 찾는 태국 관광객 줄어들고 있음. 자세한 원인과 한국의 대응 정리해봄

🤔무슨 일이야?
•올해 1∼4월 한국을 찾은 태국 관광객은 11만9천명
-지난해 동기보다 21.1% 감소
-입국 불허 논란과 반한 감정 확산 영향으로 보임

🇹🇭태국과 한국
•코로나 이전 태국은 동남아 국가 중 방한 관광객 1위 국가
•비자 면제 협정으로  한국 입국 신고서를 작성하지 않아도 됨
-현지에서 K-ETA를 온라인으로 신청하고 허가만 받으면 됨

🙅입국 거부
•그러나 지난해 입국심사 인터뷰 통과 못한 태국인들 발생
•K-ETA는 무비자 입국 제도인데, '제2의 비자'로까지 인식 됨
•그 반작용으로 '한국 여행 금지' 해시태그가 트렌드 1위에 오르기도

🇰🇷반한감정 확산
•18일 태국 상원이 동성결혼 합법화 법안을 가결
•현지 매체는 한국의 부정적이고 모욕적인 댓글 보도
•현지에서 다시 반한 감정 확산

🧐전망
•한국이 태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서울 투자수요 ‘마용성’으로 이동...왜?

서울 투자수요 ‘마용성’으로 이동...왜?
김윤서
NEW

•서울의 주거 및 투자 수요가 강남 3구에서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로 이동하고 있음

🤔무슨 일이야?
•올해 1분기 서울 마용성 지역 아파트의 서울 거주자 매수 비중 75.5%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184665i]
•같은 기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서울 거주자 매수 비중은 68.5%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184665i]

🏡왜 ‘마용성’일까?
•비규제지역(용산 제외)으로서 투자 매력이 높기 때문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1870161]
•입지가 좋고 한강 근처 새 아파트가 많음에도 가격 상승률 낮기 때문
•지난해 가격 누적증감률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171870161]
-마포구 -1.29%, 성동구 0.03%
-강남구 0.65%· 서초구(0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성평등 도서가 금서? 현대판 '문화전쟁' 곳곳 불붙어

성평등 도서가 금서? 현대판 '문화전쟁' 곳곳 불붙어
김윤서
NEW

•전국 각지에서 일부 성교육 도서들이 폐기됨. 청소년 보호 vs 기본권 침해 시각 대립 중

🤔무슨 일이야?
•작년 5월 충남 보수 단체들이 일부 책들을 도서관에서 빼달라는 민원 지속 제기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918]
•경남, 서울 등에서도 비슷한 일이 발생
•경기도 교육청 지시로 1년 간 경기도의 학교 도서관에서 2,500여 권이 폐기
[https://www.naeil.com/news/read/513358?ref=naver]

📚보수단체들의 주장
•해당 도서들이 동성애, 조기성애화, 낙태 등을 정당화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n44626q854o?xtor=AL-73-[partner]-[naver]-[headline]-[korean]-[bizdev]-[isapi]]
•자위행위나 성관계 등을 묘사하는 성교육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한국 경제 2040년부터 역성장, 이유는?

한국 경제 2040년부터 역성장, 이유는?
김윤서
NEW

•앞으로 혁신을 통한 생산성 개선이 없다면 2040년대에는 한국 경제가 역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옴

🤔무슨 보고서?
•한국은행 보고서
-2040년대부터 한국 경제가 역성장 국면에 진입할 수도 있어
•초저출생과 고령화로 인한 노동공급 감소와 혁신기업의 생산성 둔화가 주된 원인

👶초저출생·고령화 현상
•2020년에는 5,184만명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347/view.do?nttId=10084457&menuNo=201106&pageIndex=1]
으로 인구 정점을 찍었으며, 이후 감소세 예상
•2040년에는 5,006만명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347/view.do?nttId=10084457&menuNo=201106&pageIndex=1]
, 2070년에는 3,718만명
[https://www.bok.or.kr/portal/bbs/B0000347/view.do?nttId=10084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물가 상승률 하락? 소비자들 고개 젓는 이유

물가 상승률 하락? 소비자들 고개 젓는 이유
김윤서
NEW

•최근 물가 상승률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통계가 발표됐음. 그러나 소비자들은 체감하지 못하고 있음. 이유를 알아 봄

📈물가상승률 현황
•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7%. 2개월 연속 물가 안정 목표권(2%대)
•정부는 물가안정을 위해 신선과일 10종과 가공품 8종에 대한 할당관세 연장 결정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54254#home]

🍎문제는 식료품 물가
•밥상 물가에 영향을 미치는 신선식품 지수는 작년 동월 대비 17.3% 상승
-특히 신선과실 상승률은 39.5%
•식품 물가 상승률은 3.9%를 기록하면서 전체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돎
•농산물 물가는 전년 대비 19% 올라
-기여도 측면에서도 전체 지수를 0.69%포인트나 끌어올림
[https://www.seoul.co.kr/news/economy/2024/06/04/20240604500187?wlog_tag3=nave]

⛽️다른 물가도 비슷
•석유류 물가상승률은 3.1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필리핀 도우미, 차등임금 논란 촉발

필리핀 도우미, 차등임금 논란 촉발
김윤서
NEW

•서울시가 저출생 대책의 일환으로 추진해온 ‘필리핀 가사도우미’ 제도를 9월부터 시행. 최저임금 차등지급제에 대한 찬·반 논쟁이 뒤따르고 있음

🤔'필리핀 가사도우미' 제도란?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해온 저출생 대책의 일환
•해당 제도를 70년대부터 도입했던 홍콩·싱가포르, 출생률 증가 효과 보지 못함
👉국가의 돌봄 책임을 떠넘기는 정책이라는 의견 지배적 [https://www.news1.kr/articles/5424113]
👉'정책 목표가 뚜렷하지 않은데 성급하게 추진되고 있다'라는 우려도

🪔'최저임금 차등제' 찬·반 논쟁으로 불똥
•이번 제도 도입을 계기로 노동자의 급여를 차등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 나옴
•현재 최저임금은 국적·나이·업종·지역 불문 모든 노동자에게 동일 적용이 원칙

🙆찬성 의견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703055]
•일에 따라 난이도와 생산성이 다르므로
•최저임금을 줄 능력이 없는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음원사재기 첫 재판, 엔터업계 긴장

음원사재기 첫 재판, 엔터업계 긴장
김윤서
NEW

•트로트 가수 영탁의 전 소속사 대표 등 11명이 음원 사재기 혐의로 재판에 넘겨짐. 음원 사재기가 정식 재판에 넘겨진 첫 사례. 재판의 결과가
엔터업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무슨 일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1431248?ref=naver]
•'음원 사재기'를 한 혐의로 트로트 가수 영탁의 전 소속사 대표 등 11명이 무더기로 재판에 넘겨짐
•500여 대의 가상 PC, 대량 구입한 IP, 불법 취득한 개인정보 1,627개를 이용해 음원 순위를 조작

💡음원 사재기 : 브로커를 통해 금액을 지급한 뒤 특정 가수의 음악 순위를 조작하는 행위. 2010년부터 이슈가 돼 왔으나 처벌된 경우는 없음
🧐관련 법은?
•2016년 3월, 음반 판매량을 부당하게 구입하거나 구입하게 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음악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개정
[https://www.korea.kr/briefing/pressReleaseView.do?newsId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라인사태, 일본이 과했다고 비판받는 이유

라인사태, 일본이 과했다고 비판받는 이유
김윤서
NEW

•일본인의 80%가 사용하는 국민 메신저 라인의 개인정보 유출을 이유로 일본정부가 네이버에 라인 지분 매각을 압박중. 네이버에 경영권을
포기하라는 일본 정부의 압박은 과도하다는 비판 나옴. 그 이유를 살펴봄

🤖지분매각 압박 이유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4&artid=202405130600031]
•2023년 11월 라인 사용자 52만 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사건 발생
•개인 정보를 관리하던 네이버 클라우드의 보안 대책이 충분하지 않다며 책임 요구

👹일본 정부의 오버
•유출의 양과 심각성에 비해 과도한 행정 처분이라는 비판
👉통상 이런 경우 재발 방지를 요구하고,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과태료 등의 조치

👺소니와의 형평성 문제
•소니 7700만명 개인 정보 유출
: 150억원의 보상 금액으로 소송 합의 [https://m.nocutnews.co.kr/news/6143574]

👻일본 정부의 전력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영업이익 '반토막'난 쿠팡, 앞으로의 전략은?

영업이익 '반토막'난 쿠팡, 앞으로의 전략은?
김윤서
NEW

•쿠팡의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반토막’ 났고, 당기순이익은 일곱 분기 만에 적자로 돌아섬. 원인과 대책,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함

🧐무슨 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0854661]
•쿠팡은 1분기 영업이익 4000만 달러(약 531억 원). 작년 대비 61% 급감한 어닝쇼크
•당기순이익 318억원 적자. 2022년 2분기 900억원 순손실 이후 첫 분기 적자
•미국 월가에서 추정한 수준의 1/4
•뉴욕 증시 장 마감 이후 이뤄진 실적 발표 직후 쿠팡의 주가는 시간외거래에서 6~7% 하락

💡어닝쇼크 : 기업이 실적을 발표할 때 시장에서 예상했던 것 보다 저조한 실적을 발표하는 것📉이익 감소 원인
•’알리’, ‘테무’와 같은 중국 e 커머스의 거센 공세에 따른 마케팅 비용 지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0854661]
•명품 플랫폼 파페치 인수: EBITDA(상각 전 순이익)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왜곡된 5·18 소재로 게임...로블록스 어쩌나

왜곡된 5·18 소재로 게임...로블록스 어쩌나
김윤서
NEW

•5·18을 배경으로 한 로블록스의 게임 ‘그날의 광주’가 한 초등학생의 제보로 삭제 조치됨

🎮로블록스?
•사용자들이 직접 게임이나 엔터테인먼트, 소셜미디어 등을 개발 및 이용할 수 있는 가상 세계 경험 공유 플랫폼
•전 세계 일일 동시 접속자 930만 명 [https://www.newstree.kr/newsView/ntr202405030011]에 이르며
특히 초등·중등생 이용자가 많음

🤔무슨 문제 [https://www.yna.co.kr/view/AKR20240503091051054]?
•시민과 계엄군이 전투를 벌인 비극적 참상을 이용자들이 게임으로 재현한다는 설정 자체
•대표적 5·18 역사 왜곡 주제인 북한군 침투설도 그대로 차용
👉게임머니로 아이템을 사면 북한군이 될 수 있게 하거나 게임 내 땅굴을 따라가면 북한의 국기와 북한 노래가 나옴
•게임을 접한 한 초등학생이 언론에 상황을 제보하며 외부에 알려진 후 플랫폼의 조치로 삭제

😨문제점
•극단적인 유해 콘텐츠에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빵플레이션’ 잡는 정부, 다른 식료품은?

‘빵플레이션’ 잡는 정부, 다른 식료품은?
김윤서
NEW

•최근 먹거리 중심으로 고물가가 이어지자 정부가 물가 감시에 나섬. 제빵이 첫 대상. 이후 다른 식료품도 감시 예정

🍞제빵 시장이 타겟이 된 이유
•지난해 국내 빵 물가는 1년 전보다 9.55%
[https://www.khan.co.kr/economy/economy-general/article/202404301527001] 인상. 전체
물가 상승률(3.6%)의 3배
•국내 제빵 시장은 과점 상태
•우크라이나 전쟁이후 올랐던 밀가루 가격이 정상화 되었음에도 빵 값은 요지부동

🧐어떻게 감시 [https://m.nocutnews.co.kr/news/6137931]한다고?
•'민생 밀접분야 불공정행위 신고센터' 개설
👉 의식주·중간재 등과 관련된 담합 행위 신고 후 법 위반이 인정되면 최대 30억 원의 신고포상금이 지급될 수 있음
•'시장 모니터링 전담팀' 구성
👉과거 담합 품목 중 과도한 가격 상승이 있는 분야, 원가 하락이 상당 기간 가격에 반영되지 않는 분야, 관계 부처

more...
김윤서
김윤서
무료 회원 공개 전체공개
NEW

폐관한 대한극장, 이머시브 공연장으로 재탄생

폐관한 대한극장, 이머시브 공연장으로 재탄생
김윤서
NEW

•전통의 서울 대한극장이 폐관될 예정. 간단한 역사와 향후 활용 방안 소개해 드림

🎞️대한극장 [https://www.yna.co.kr/view/AKR20240430096000005?input=1195m]
•1958년 서울 충무로에서 국내 최대 극장으로 개관
•미국 영화사 ‘20세기 폭스’ 설계로 건축
•당시 국내 최초 ‘무창(no window) 극장’이자 70mm 영화를 볼 수 있는 스크린과 영사 시스템 도입

😥폐관 원인
•영화 상영 사업의 패러다임 변화
•국내 영화산업이 멀티플렉스 3사 중심으로 재편→관객 감소와 수익성 악화

🤔영화계의 반응 [https://www.sportsseoul.com/news/read/1424833?ref=naver]
•K 컬처 위기론 심화: 전통 영화 문화의 상실 우려
•역사와 전통을 지키는 데 국가 예산 투입을 비롯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데, 자본의 논리로만 굴러가고 있다는 반응

🎭폐관이후?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머시브 공연인 ‘슬립 노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