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재활용, 왜 쓸모없다는 말 나오나

최세희
최세희

•최근 세계적인 환경단체 그린피스가 기업들의 쓰레기 해결 정책에 반기를 들고 있음. 오히려 환경에 방해된다는 주장인데 이유를  알아봄

😭플라스틱 폐기물 재사용률 9%...왜?
•재활용 플라스틱 제품은 업체가 선호하지 않음
•수거 과정 어려움, 재활용 위한 분류 사실상 불가능
•재처리 과정에서 오히려 환경오염

🐬바다 쓰레기 청소 = 수돗물 틀고 걸레질 하기
•바다 쓰레기 청소는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없애는 데 도움 안 됨
-다만 '가장 많은 오염 유발하는 기업 파악'에 유용
•제도적으로 큰 변화가 있어야 의미 있음

🌱바이오 플라스틱 = 능사 아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분해 시 조건 까다로워
-썩는 특징 때문에 재활용되지 않고 자연에 버려지거나 소각, 매립되는 모순 발생
-이 과정에서 메탄가스도 방출, 오히려 탄소 감축에 방해
•기존 플라스틱과 성분이 다르기 때문에 재활용도 불가능
-오히려 기존 플라스틱 재활용 방해
•생산 과정에서 식량문제 발생 가능성

🦠플라스틱 분해하는 박테리아는?
•유전자 변형 미생물은 생태계 투입시 위험 도사리고 있어
•산업 규모로 확장 어려움
•일시적 완화에 그칠 뿐

🌿그린피스가 내놓은 대책안
•플라스틱 생산 극적 감소시켜야
•재사용 및 리필 시스템 활성화해야